2025학년도 봄학기부터 PBL형태의 경제교육 프로그램인 <교실경제프로젝트>를 아래와 같이 시행합니다.
1. 개요
학생들이 경험을 통해 올바른 금융 습관을 형성하고, 돈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“교실경제 프로젝트”라는 이름으로 PBL형태의 경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다.
2. 경제 교육의 필요성
1) 경제적 독립의 중요성
• 학생들이 돈을 직접 관리하면서 소비, 저축, 투자 개념을 체험
• 경제적으로 독립한 아이들은 책임감을 갖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름
2) 실생활에서 필요한 금융 지식 습득
• 용돈 관리, 저축, 투자, 세금 개념을 학습하여 실생활 속 금융 문제 해결 능력 습득
• 금융 범죄(불법 대출, 보이스피싱 등) 예방
3) 실수를 경험하며 배우는 기회 제공
• 직접 돈을 벌고 소비하면서 시행착오를 겪고 이를 통해 경제적 판단 능력 배양
4) 올바른 경제관념 형성
• ‘돈이면 다 된다’는 인식 방지, 돈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법 습득
• ‘코브라 효과’ 방지 - 돈을 행동 조절의 도구로 사용하지 않도록
3. 교육 내용
1) 소득 (돈을 버는 방법)
• 근로소득 : 일하고 받는 돈 (예 : 학교 내 직업 수행)
• 사업소득 : 물건을 만들어 팔거나 가게 운영
• 자본소득 : 저축, 투자로 번 돈
2) 소비 (돈을 쓰는 방법)
• 기회비용 :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것을 포기해야 함
• 희소성 : 모든 물건과 돈은 한정되어 있음
• 합리적 소비 : 충동소비, 과소비, 모방소비 등을 방지하는 법 익히기
3) 저축 (돈을 모으는 방법)
• 저축 습관 형성 및 이자의 개념 이해
• 은행 운영 및 예⋅적금 상품 운영
4) 투자 (돈을 불리는 방법)
• 저축과 투자 차이점 이해
• 투자 시 수익과 손실 가능성 학습
• 몸무게, TV 시청률 등 친숙한 개념을 활용한 투자 게임 진행
5) 신용과 대출 (믿을 수 있는 사람이 되는 법)
• 신용 점수 개념 및 관리 방법 익히기
• 신용 등급에 따른 경제적 유⋅불리를 경험하면서 신용도의 중요성 인식
6) 세금과 부동산
• 세금이 필요한 이유와 사용처 이해
• 원천징수와 세율에 대한 이해
• 자릿세 등 부동산 개념을 접목한 학습 진행
4. 운영 방식
1) 가상의 정부수립
• 프로그램 운영 권한을 가진 가상의 정부를 수립하고 제정된 헌법에 따라 ‘정부대표’와 ‘총리’, ‘국무위원’ 선임 – 정부대표(강재훈), 총리(김강산), 국무위원(김명숙, 김수진)
• 정부의 명칭은 “교실경제연합(The United Classes of Economy)”로 정하고 영문 약자는 “UCE”로 표기
2) 가상의 금융기관(중앙은행) 설립
• 급여와 투자와 같은 금융 자금을 운영할 수 있는 금융기관 설립
• 금융기관의 명칭은 “교실경제연합은행(The Bank of UCE)”로 정하고 영문 약자는 “UCEB”로 표기
• 화폐단위는 “셀라(SELAH)”로 정하고 화폐가치는 ‘1셀라=1만원’으로 설정
3) 직업 선택과 급여 지급, 소비 체험
• 중앙은행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직업과 신용도에 따라 2주마다 주급 형태로 급여를 통장으로 지급
• 1개월 단위로 직업을 변경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제안할 수 있으나, 직업 전환 시 신용도, 나이에 따라 직업 선택에 제한 적용
• 수입이 발생하면 국민들은 투자, 사업 등을 통해 부를 축적할 수 있고 환전을 통해 물품 구입 가능(평가 후 하반기 이후 순차적으로 실행 예정)
4) 운영 기간
• 대상 학년 : 1 ~ 8학년
• 2025년 2월 20일 (목) 오리엔테이션
• 2025년 2월 21일 (금) 직업 선정 및 급여 지급(초기 정착 자금 100셀라 일괄 지급)
• 급여는 2주 단위로 지급, 직업 선택 주기는 1개월로 한정
• 매 1개월 마다 신용평가를 거쳐 적용된 이율에 따라 급여 지급 또는 세금 징수
5 기대 효과
• 학생들이 돈의 개념을 올바로 이해하고 돈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며, 실생활에서 현명하게 경제적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 습득
• 경제적 독립을 통해 책임감과 문제 해결 능력 배양
• 금융 개념을 자연스럽게 익혀 신용불량, 금융사기 피해와 같은 경제적 실수를 예방
• 사회 구성원으로서 경제 활동을 체험하고, 경제적 윤리를 배우는 기회 제공
6. 2025학년도 실행 계획
1단계 - 교육 기획 및 자료 준비
• 경제 교육 커리큘럼 및 수업 자료 제작
• 교실 내 경제 시스템 운영을 위한 법과 규칙 제정, 화폐 제작 및 교육
2단계 - 교육 실행 및 시범운영 (봄 학기)
• 학급 내 직업 배정 및 급여 지급
• 저축 실습 진행
• 신용 점수 관리 및 세금 납부 체험
• 이직 체험
3단계 - 평가 및 보완 (봄 학기 시범운영 이후이후)
• 추가 개선 사항 반영하여 교육 프로그램 지속 운영
4단계 - 프로젝트 실행 (여름 학기부터)
• 실전 경제 시스템 운영
• 세금 납부, 투자, 소비 관리 등 전 과정 진행
5단계 - 평가 및 보완 (매 학기 종료 후)
• 실습 과정 전반을 평가하여 추가적인 보완 조치 마련
• 향후 프로그램 개선 및 지속 운영 계획 수립
6. 결론
“교실경제 프로젝트”를 통해 학생들이 법과 규칙의 테두리 안에서 경제적으로 독립하고 올바른 금융 습관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, 이를 통해 실생활에서 유용한 경제 지식을 익히고, 나아가 금융 범죄 피해 예방 및 건전한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.